본 매뉴얼은 리눅스(UBUNTU 20.04)환경에서 Terminal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사용자는 UBUNTU 20.04 이상의 환경에서 리눅스 환경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매뉴얼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
https://sites.google.com/view/seoulqmt
University of Seoul QMT
Quantum materials theory at the University of Seoul
sites.google.com
Ry란 에너지의 한 단위이다. Rydberg Constant(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Rydberg_constant)를 참조하여 Rydberg unit of energy는 eV로 전환하면 다음과 같다.
Rydberg constant - Wikipedia
From Wikipedia,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Physical constants of energy and wavenumber This article needs to be updated. The reason given is: it needs to reflect the 2019 redefinition of the SI base units, which came into effec
en.wikipedia.org
1 Ry | = 13.605662285137 eV |
이제 Total Energy 그래프를 그려 보도록 하자.
Output File 중 아무거나 클릭하여서 에서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‘! total energy = -177.81654688 Ry’가 보일 것이다.
"! total energy ="이 부분까지만 복사하면 된다.
여기서 구체적인 값 부분만 지워주고 다시 Terminal 창으로 돌아온다.
그리고 Terminal 창에 아까 복사해 준 것을 복붙하여
grep “! total energy =” *.out
이라고 치면(띄어쓰기 주의, 본 매뉴얼에서 긁어오는 것이 아니라 원래 파일에서 긁은 것을 그대로 입력하는 것이다.) 다음과 같이 나온다.
이 부분을 복사한 후, vi KE.dat이라는 파일을 만든다. 그리고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여 이렇게 정리한다.
(참고, vi의 읽기 모드에서 ctrl-v를 쓰면 블록을 설정할 수 있다. 블록을 만든 뒤에 del버튼이나 알파벳 d를 누르면 지워진다. 잘못 지운 경우는 u 라는 명령어로 실행 취소가 가능하다.)
이 때 숫자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지 않으면 그래프의 개형이 망가진다.
그리고 :wq 명령어를 이용하여 저장한다.
저장한 뒤에는 Terminal 창에xmgrace KE.dat 이라고 쳐서 그래프를 그린다.
아래와 같은 그래프가 출력되었다면 정상이다. 대략 80 Ry부터 그래프가 안정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. 그러니 왼쪽 데이터에서 40~70부분을 지우고 저장한다.
Cutoff 과정을 거친다는 뜻이며 cutoff 는 80으로 잡았다고 말하면 된다.
이렇게 해서 Total 에너지 그래프가 완성되었다.
만일 아까 ecutwfc 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해 두지 않았다면
이렇게 그래프 개형이 끊어지고 잇지 않아도 되는 선을 잇게 된다.
ecutwfc 에 따른 Total energy의 변화 그래프를 그리는 매뉴얼은 여기까지이다.
본 매뉴얼에서는 ecutwfc를 약 80으로 잡았다.
다음에는 적절한 Kpoint를 잡아 보도록 하겠다.
'DFT > Calcul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. Relaxing (2023.08.03 오타 및 내용 수정 완료) (0) | 2020.09.11 |
---|---|
8. 적절한 K-Point 찾기 (2023.08.03 오타 수정 완료 및 KPOINT-Total energy그래프 추가) (0) | 2020.09.10 |
6. Output File (0) | 2020.09.07 |
5. Input File (오타 수정 완료 2023.08.03) (0) | 2020.09.04 |
4. Pseudo Potential(2023.07.26수정 완료) (7) | 2020.09.02 |